티스토리 뷰

여직까지 서론이 너무 길었던것 같다.

고등학교 과정 이야기 및 친구들과 있었던 일들은 일단 가슴속에 잠시 놓아 두고
바로 내가 공부했던 방법들을 하나씩 알아보기로 하자.

내가 만든 공부 비법 중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바로 "자신의 성적을 제대로 알자" 이다.

뭐 어디서 풀 뜯어 먹는 이야기냐고 말하겠지만, 내가 예를 하나 들어 보겠다.

"철수는 기말 시험에서 국어 점수가 85점으로 지난번 중간고사 점수 75점 보다
 무려 10점이나 올랐다고 기뻐했다."

이게 과연 기뻐할 일일까?

다시 한번 보도록 하겠다.

"철수는 기말 시험에서 국어 점수가 85점으로 지난번 중간고사 점수 75점 보다
 무려 10점이나 올랐지만 반 평균 점수는 70점에서 90점으로 20점이나 올랐다."

자, 반평균 점수가 90점이면 반친구들 중의 30% 정도는 100점을 맞았다는 이야기인데,
85점을 받은 철수는 이제 부모님께 혼날일만 남았다.

위의 예에서 볼수 있듯이, 사실 점수 자체는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점수가 아무리 많이 오르고 아무리 많이 내리더라도 평균점수도 똑같이 오르고 내리게 되면
사실 달라지는 건 점수 밖에 없다. 반 등수는 그대로 라는 말이다.

시험 결과를 봤을때 정작 중요한 것은 점수가 아니고 평균과의 거리(차이) 이다.

위의 철수의 예에서 평균과의 거리를 보도록 하면,
                                                                              평균과의 거리
- 중간 국어 시험 점수 : 75 / 평균 점수 : 70                            +5점
- 기말 국어 시험 점수 : 85 / 평균 점수 : 90                            -5점
                                                                           -----------------
                                                                                     -10점
철수는 기말 국어 시험에서 중간 시험 보다 10점이 올랐지만
사실상 중간 고사 국어 시험 보다 10점 낮은 점수를 받은 것이다.

헷갈리고 무슨말도 안돼는 소리를 하고 있냐? 하시는 분들은 아래 한가지 예를 더 들어보이겠다.

"영희가 기말 국어 시험에서 50점을 받았다. 중간고사에서는 65점 이었는데 무려 15점이나 떨어진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 국어 시험이 무척 어려웠는지 평균점수는 40점에서 15점으로 25점이 낮아졌다."

                                                                              평균과의 거리
- 중간 국어 시험 점수 : 65 / 평균 점수 : 40                            +15점
- 기말 국어 시험 점수 : 40 / 평균 점수 : 15                            +25점
                                                                           -----------------
                                                                                     +10점

영희는 기말 국어 시험에서 중간 시험 보다 15점이 떨어졌지만
사실상 중간 고사 국어 시험 보다 10점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이다.

나는 항상 시험 성적표를 받으면 책상앞에 딱 펴놓고 한시간 정도 동안 보고 또보고 또보고 했었다.
이유는 그냥 어딘가 나도 모르는 점수가 숨어있지 않을까 하는 맘이 었지만,
그 습관 덕분에 이런 나름대로의 분석 방법을 만들어 냈다고 자부한다.